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서울

[서울/용산] 국립중앙박물관 - 어느 수집가의 초대 -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 (2)

by Cecilia_J 2022. 8. 25.
728x90
반응형

국립중앙박물관♡

다양한 전시를 즐길수 있는 용산의 국립중앙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728x90

 

이날 다녀온 전시는 '어느 수집가의 초대 -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 입니다.

전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시명 : 어느 수집가의 초대 –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
기간 : 2022.4.28.(목)~2022.8.28.(일)
공동주최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

 

 

이번 전시에서는 정선의 '인왕제색도', 클로드 모네의 '수련', 이중섭의 '황소', 박수근의 '한일' 등 이건희 컬렉션 355점을 관람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전시실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저의 집을 소개합니다.

2. 저의 수집품을 소개합니다.

 

워낙 컬렉션이 광범위하여 1 전시실 '저의 집을 소개합니다' 는 별도 포스팅을 작성했습니다.

 

[서울/용산] 국립중앙박물관 - 어느 수집가의 초대 -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 (1)

 

[서울/용산] 국립중앙박물관 - 어느 수집가의 초대 -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 (1)

국립중앙박물관♡ 다양한 전시를 즐길수 있는 용산의 국립중앙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이날 다녀온 전시는 '어느 수집가의 초대 -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 입니다. 전시 정보는 다

worldtravellerjp.tistory.com

 

 

황소

이중섭, 1950년대

 

너무나도 유명한 이중섭의 그림 '황소' 입니다.

소는 인내와 끈기의 상징으로 일제강점기 한국인에 곧잘 비유되었습니다.

이중섭의 소 그림은 작가의 자화상과도 같습니다.

그림 속 때로는 힘차고, 때로는 힘겹고, 때로는 슬프게 피 흘리는 소의 모습은 변화무쌍한 삶을 살았던 이중섭의 모습과도 같습니다.

 

소와 여인

김기창, 1960년대 초

 

 

백자 청화 산수무늬 병

조선 19세기

 

보름달이 뜬 강가의 풍경이 변 전면에 그려져 있는 산수무늬 병입니다.

이 병은 떡을 칠 때 사용하는 몽둥이처럼 생겼다 하여 '떡메병' 이라고도 하며 화병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다양한 그릇들이 진열되어 있는 공간입니다.

 

"근본적으로 인간의 손으로 만든 것이라면 모두 아름답거나 추한 형태를 지닙니다.

자연과 조응하며 도움이 되면 아름다운 것이 되고 자연과 어긋나며 방해가 되면 추한 것이 됩니다."

- 윌리엄 모리스, 아름다움을 만드는 일에서

 

 

가까이서 보니 무늬 하나하나가 섬세하고 아름다웠습니다.

 

분청사기 조화 모란무늬 항아리

조선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큼직한 항아리에 흰 흙을 거칠게 바른 후 선으로 긁어 모란무늬를 간략하고 힘차게 표현했습니다.

갈색 바탕흙과 어지러운 백색 붓자국 위로 모란무늬를 그린 선이 선명하게 드러나 있습니다.

 

 

 

 

나뭇잎

정광호, 1997

 

나뭇잎의 골격만 남기고 안을 비워 잘 드러나지 않았던 잎맥을 부각시켰습니다.

정광호 작가는 '비조각적인 조각' 을 추구했는데, 이는 보는 이의 시선에 따라 작품이 공간 속에 2차원인 동시에 3차원으로 존재한다는 의미입니다.

 

"난초는 향기 좋으니 마음 맞는 친구가 될 만하고,

대나무는 가운데 비었으니 겸허한 스승으로 삼을만하네."

 

다른 사람에게 난초, 또는 대나무와 같은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문득 해 보았습니다.

 

 

난초, 대나무와 바위

김규진, 1922

 

위의 문구에 나와 있듯이 대나무를 겸허한 스승으로, 난초를 의기투합한 친구로 빗댄 작품입니다.

대나무는 강렬한 녹색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전통적인 서화의 소재와 주제이지만 이전과 달리 크기가 크고 색채가 강렬한 것이 특징입니다.

 

금, 최고의 가치를 지닌 금속

귀걸이

삼국시대 5-6세기

 

금은 녹이 슬지 않고 광택이 변하지 않으므로 인류가 가장 가치 있는 금속으로 아껴왔습니다.

삼국시대에는 지배 계층의 지위를 상징하는 금제 장신구가 유행했습니다.

 

 

은, 빛나지만 변하는 금속

연꽃.모란 넝쿨무늬 팔찌

고려 12-13세기

 

은은 두들기거나 정으로 쪼아 무늬를 섬세하게 표현하기 좋은 재료입니다.

이 팔찌의 겉면에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은판을 두들겨 모란과 연꽃 넝쿨무늬를 촘촘하게 표현하였습니다.

 

 

생각하는 여인

최종태, 1992년

 

자연은 인간에게 경이로움과 막연한 공포의 대상이었습니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지식이 늘면서 인간은 삶을 근본적으로 사유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작품처럼 인간은 유한한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고 죽음 뒤에 무엇이 있을지 고민하면서 종교의 차원이 높아졌습니다.

 

"모르는 것도 두려운 것도 많은 인간은 끊임없이 삶의 본질을 사유합니다."

 

 

업경대

 

삶을 되돌아보게 하는 거울, 업경대입니다.

사후 염라대왕의 심판을 받을 때 생전에 지었던 죄를 모두 비추는 거울이라고 합니다.

 

 

 

 

 

기록에 관심이 많았던 이건희 회장은 각종 기록물들도 많이 수집하고 있었습니다.

 

한일

박수근, 1950년대

 

1950년대 서울에 살던 박수근은 날마다 길을 오가며 마주치는 사람들을 즐겨 그렷습니다.

당시 서울에서는 취미생활을 할만한 공간이 마땅하지 않아 사람들은 길가에 삼삼오오 모여앉아 시가을 보냈다고 합니다.

 

 

하늘과 땅

방혜자, 2010년

 

인간은 상상력을 발휘해서 보이지 않는 세계를 상상할 수 있습니다.

방혜자 작가의 작품은 흙과 석채와 같은 천연 안료를 종이에 칠했다가 지우거나 문지르고 재료를 구겼다가 펴는 기법을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기법을 통해서 은은하게 스며들고 파장으로 퍼져나가는 빛을 표현할 수 있었습니다.

 

"모든 변화는 '나로부터의 변화'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잔잔한 호수에 돌을 던지면 동심원의 파문이 처음에는 작지만 점점 커져 호수 전체로 확산돼 나가는 것처럼

모든 변화의 원점에는 '나부터의 변화'가 있어야 합니다."

- 이건희 에세이에서

 

 

산울림 19-II-73#307

김환기, 1973

 

이 작품은 대형 화면을 점으로 가득 채워 마치 밤하늘을 수놓은 광대한 별자리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김환기 작가는 광목을 바닥에 놓고 아교칠을 한 곳에 푸른 점을 무수히 채워 넣어서 한지에 먹이 번지는 듯한 효과를 연출했습니다.

 

 

"변화란 쉬운 일, 간단한 일부터 차곡차곡 쌓아 올라가야 합니다.

작은 변화라도 지속적으로 실천하여 변화가 가져다주는 좋은 맛을 느껴보고

변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건희 에세이에서

 

비상

김정숙, 1985

 

비상은 김정숙 작가가 추구한 영원을 향한 초월의 의지를 반영한 시리즈입니다.

나선 또는 부채꼴 같은 형태를 실험하면서 상승과 하강의 움직임을 표현했습니다.

 

 

브람스

백남준

 

미디어아트의 대가 백남준의 작품 '브람스' 입니다.

영상이 19세 미만 청소년이 관람하기에 다소 부적절한 내용이 있을 수 있어 보호자의 지도가 필요하다고 안내되어 있었습니다.

 

 

어느 수집가의 초대 –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

삼국시대부터 현대미술까지, 다양한 시대를 아우르는 컬렉션은 무척 흥미로웠고 재미있었습니다.

이건희 회장의 개인적인 예술 취향도 엿볼 수 있었던 재미있는 전시회였습니다.

 

* 국립중앙박물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728x90
반응형